CreditX

스마트폰 전자파가 염증을? 본문

카테고리 없음

스마트폰 전자파가 염증을?

Each of us 2023. 10. 30. 22:16
반응형
SMALL

스마트폰 전자파가 염증을?

 

스마트폰. 이제는 남녀노소 언제나 함께하는 기본적인 물건이 되었다.

심지어 운동을 할 때 조차도

팔에, 다리에 또는 복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밴드도 출시되어

이제는 많이 사용한다.

 

우리는 스마트폰의 지속 사용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알고 있으며,

거북목, 수면장애, 비만, 안구건조증 등이 그 대표적인

Mobile Disease 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일부 사람들은 스스로 중독되었지만,

중독이라고 부르지 않으며 

필요에 의해 사용한다고 하기도 한다.

과학적 근거, 몇 가지 연구를 살펴보자.

 

1) 08년,  스웨덴 오레브로대학병원 레나드 하델 교수

  - 스마트폰을 10년 이상 사용한 사람은 뇌종양 발생률이 20% 이상 증가

  - 10년 이상 한쪽 귀로 통화할 경우 그 쪽에서 뇌종양 발생 소지 2배 증가

 

 2) 09년, 국립암세터 명승권 교수

  - 10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한 환자의 비율이 뇌종양 환자군에서 18% 이상 많음

    (1.2만명의 뇌종양 환자와 2.5만명의 정상인 비교)

  - 휴대전화와 전자파는 암 발생과 관련 있음

 

3) 13년, 아주대학교 김현준 교수

  -  휴대전화 전자기파가 코점막의 점액섬모 운동을 억제한다는 사실

  -  휴대전화 사용시간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

  -  특히 비염이나 축농증 등의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는 휴대전화 사용에 더욱 유의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어떻게 분류할까?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11년 휴대전화 전자파를 발암물질 ‘2B군(인체 발암 가능 물질)’으로 분류

2B군은 ‘발암 가능성이 있으나 근거가 충분치 않은 물질군’을 의미

(=자동차 엔진 배기가스, 납, 커피가 포함)

 

아토피에는 어떨까?

전자파는 우리 몸을 건조하게 하고

가려움증을 유발하기도 함

 

5G..가 인체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일까?

고주파를 사용하는 5G의 경우, 

대부분 피부 반사가 발생

생체 내부로 침입 및 침투되는 에너지는 매우 작겠지만,

아직 상용화가 되지 않은 28GHz에 대해선

피부와 안구에 영향을 줄지도 모른다

 

전자파 과민증은? 이것도 병인가?

전자기기의 전자파에 노출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두통, 현기증, 집중력 부족, 우울증, 수면장애

천식....

어 ..종합병원이다.

 

그렇다면 우리 현대인의 스마트폰,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1) 스마트폰을 몸에 가까지 두지 않는다. (주머니 등)

2) 잠잘 때 머리 근처에 두지 않는다.

3) 통화 연결시 강한 전자파가 나오므로, 특히 주의

4) 배터리 부족시 더 많은 전자파를 방출하므로 충전후 사용

 

스마트폰, 정말 우리 실생활에 많이 쓰이고

장점도 많다. 똑바로 쓰자.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너무 스마트폰에 쏟다보면,

스마트폰은 우리를 잠식할지도 모른다.  끝.

반응형
LIST
Comments